2024년 청년도약계좌 환승,일반 가입, 일반 적금 어떤 것이 이득일까?

2024년 청년도약계좌 환승에 대한 정보가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다가오는 현재 환승을 해야 할지 일반 가입을 해야 할지 일반 적금을 넣어야 할지 궁금하신가요? 그렇다면 잘 찾아오셨습니다. 2024년 청년도약계좌 환승, 일반 가입, 일반 적금 세 가지 모두 분류하여 자세하게 설명해 놓았으니 참고하셔서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셔서 가입하시면 되겠습니다.

✅ 2024년 청년도약계좌 환승 및 일시납입

청년도약계좌 환승 및 일시 납입은 청년희망적금 만기까지 유지한 청년청년도약계좌 가입 요건을 충족한 경우, 청년도약계좌에 원활하게 연계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점에 일시적으로 납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2024년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조건

나이개인소득가구소득
만 19세 ~ 34세 ▼
(병역 이행기간 제외)
최대 6년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 7,500만 원▼
중위소득 180% ▼
참고) 서민진흥금융원

✅ 청년도약계좌 환승할 때 청년희망적금 만기금 모두 넣어야 될까?

청년희망적금이 만기 된 후 모든 금액을 넣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금액이 최소 200만 원 ▲ 되시는 분들은 일시 납입 대상에 포함되며 최대 1,300만 원까지 선납을 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금액이 200만 원▼ 이신 분들은 환승 대상에 포함이 되지 않아 청년도약계좌 일반 가입을 하셔야 됩니다.

(단, 일시납입 금액월 설정금액의 배수로 설정하셔야 되니 꼭 금액을 확인하시고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 월 설정금액 – 최소금액 – 전환납입 기간 계산


설정금액
일시납입
(최소금액)
전환납입
기간
40만 원200만 원5개월
50만 원200만 원4개월
60만 원240만원4개월
70만 원210만원3개월

⏺ 월 설정금액 – 최대금액 – 전환납입 기간 계산


설정금액
일시납입
(최대금액)
전환납입
기간
40만 원1,280만 원32개월
50만 원1,300만 원26개월
60만 원1,260만원21개월
70만 원1,260만원18개월
한눈에 알아보기
일시납입 금액 ÷ 월 설정금액 = 전환납입 기간

예시 1)
최소금액 200만 원 ÷ 40만 원 = 5개월
최대금액 1,280만 원 ÷ 40만 원 = 32개월

예시 2)
최소금액 210만 원 ÷ 70만 원 = 3개월
최대금액 1,260만 원 ÷ 70만 원 = 18개월

✅ 청년도약계좌 환승 / 일반 가입 / 일반 적금 한눈에 비교하기

⏺ 청년도약계좌 환승(청년희망적금 만기자)

원금이자정부기여금이자소득세만기금
4,200만 원
일시납 = 1,260만원
(70만원 × 18개월)
+
(70만원 × 42개월)
694만 원162만 원0만 원
(비과세)
5,056만 원
수익 = 856만원
(기본금리 연 4.5% / 저소득 우대금리 연 0.5% / 은행별 우대금리 연 1.0% 가정)

 

⏺ 청년도약계좌 일반 가입

원금이자정부기여금이자소득세만기금
4,200만 원
(70만원 × 60개월)
641만 원160만 원0만 원
(비과세)
5,001만 원
수익 = 821만원
(기본금리 연 4.5% / 저소득 우대금리 연 0.5% / 은행별 우대금리 연 1.0% 가정)

 

⏺ 일반 적금 가입

원금이자정부기여금이자소득세만기금
4,200만 원
(70만원 × 60개월)
378만 원58만 원
(과세)
4,520만 원
수익 = 320만원
(기본금리 연 4.5% / 저소득 우대금리 연 0.5% / 은행별 우대금리 연 1.0% 가정)

 

한눈에 알아보기
원금 + 이자 + 정부기여금 + 이자소득세 → 만기금

청년도약계좌 환승 → 4,200만 원 + 694만 원 + 162만 원 + 0 만원 = 5,056만 원

청년도약계좌 일반 가입 → 4,200만 원 + 641만 원 + 160만 원 + 0만 원 = 5,001만 원

일반 적금 → 4,200만 원 + 378만 원 + 0 만원 – 58만 원 = 4,520만 원

만기금 - 원금 → 수익

청년도약계좌 환승 → 5,056만 원 - 4,200만 원 = 856만 원

청년도약계좌 일반 가입 → 5,001만 원 - 4,200만 원 = 821만 원

일반 적금 → 4,520만 원 - 4,200만 원 = 320만 원

청년도약계좌로 환승을 했을 경우 5,056만 원으로 일반 가입에 비해서 55만 원 이득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5년 동안 돈을 사용하지 않고 저축하려고 하시는 분들께는 환승하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이 들지만 투자를 하셔서 다른 방향으로 사용해야겠다 하시는 분들은 굳이 환승을 하시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일반 적금보다는 청년도약계좌가 좋다고 판단됩니다.

✅ 청년도약계좌 환승 언제 신청해야 될까?

청년희망적금을 만기 했다고 해서 언제든지 환승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다음 달 말일까지 가입을 하셔야 환승이 가능한데요. 예를 들어 현재 청년희망적금 계좌의 만기일이 2월 22일로 적혀 있을 경우 3월 31일까지 가입신청을 해야 일시 납입을 하여 환승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현재 만기가 3월 15일 이내인 분들은 가입신청이 가능하니 미리 신청해두시고 청년희망적금이 만기가 되고 나면 계좌 개설을 하시면 됩니다.

한눈에 알아보기
청년희망적금 만기일 → 2월 22일인 경우
청년희망적금 만기 다음 달 말일 → 3월 31일까지
가입 신청을 해야 일시 납입 가능
단, 기간 내 가입하지 않을 경우 청년도약계좌 일반 가입을 하셔야 되니 서두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수 : 234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